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권동철의 한국현대미술脈-理氣와 추사 김정희①]한(漢)나라 비각(碑刻)과 추사 김정희[예서,팔분체,옹방강,완원,비학(碑學),후지 츠카 치카시(藤塚鄰),후지츠카 아키나오(藤塚明直),마츠바라 사브로(松原三郞),낭야군계역각석(琅琊郡界域刻石),금석학자·서예가 유호 박재복,삼로기일비(三老忌日碑),한인명(韓仁銘),박재복 경동대학교 교수,화암사,Park Jae Bok

이미지
  신 ( 新 ) 12 년 낭야군계역각석 ( 琅琊郡界域刻石 ) 탁본 . 240×115 ㎝ . “ 서한과 동한시대 중간인 왕망 ( 王莽 ) 의 신 ( 新 ) 나라 때 각석탁본이다 . ‘ 東海郡朐與琅琊郡櫃爲界 , 因諸山以南屬朐 , 水以北屬櫃 , 西直況其 , 口與櫃分高口爲界 , 東各承無極 . 始建國四年二月朔乙卯 , 以使者徐州牧治所書造 .’ 와 같이 60 여 글자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 < 사진제공 · 해설출처 = 유호 ( 攸好 ) 박재복 ( 朴載福 ) 개인전 - 진한문자전 ( 秦漢文字展 ) 도록 ,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 8.6~12, 2025.> “ 서와 화 ( 畫 ) 는 도가 한 가지이다 .1)” 중국서한과 동한시대 중간인 신 ( 新 ) 의 ‘ 낭야군계역각석 ’ 을 추사가 보았다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 추사생존 때는 발굴되지 않았던 , 삐뚤삐뚤하지만 억겁풍상을 이겨낸 우주질서의 숨결을 품은 탁본은 추사가 만년에 남긴 무기교의 순수유희 ‘ 판전 ( 板殿 )’ 서체와 묘하게 오버랩 되었다 .   ( 왼쪽 ) 동한 ( 東漢 ) 52 년 삼로기일비 ( 三老忌日碑 ) 탁본 . 45×91 ㎝ . “ 삼로비 ( 三老碑 ) 는 전서 ( 篆書 ) 와 예서 ( 隸書 ) 이 과도기적인 서체로 , 동한 건무 ( 建武 ) 28 년 (52) 에 건립했다 .” ( 오른쪽 ) 동한 ( 東漢 ) 175 년 한인명 ( 韓仁銘 ) 탁본 , 97×185 ㎝ . “ 한인명 ( 韓仁銘 ) 은 동한 ( 東漢 ) 희평 ( 熹平 ) 4 년 (175 년 ) 11 월 22 일에 예서 ( 隸書 ) 로 새긴 비문으로 전체의 명칭은 ‘ 한순리고문희장한인명 ( 漢循吏古聞憙長韓仁銘 )’ 이라고 한다 .” < 사진제공 · 해설출처 = 유호 ( 攸好 ) 박재복 ( 朴載福 ) 개인전 - 진한문자전 ( 秦漢文字展 ) 도록 ,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 8.6~12, 2025.>   중국문자는 상 ( 商 ) 갑골문 , 주대 ( 周代 ) 청동기에 새겨진 금문 ( 金文...

[인터뷰]금석학자·서예가 유호 박재복‥“내 마음에 드는 작품 하나 쓰는 것이 일생의 소망”[검여 유희강 劍如 柳熙綱,남전 원중식 南田 元仲植,시계연서회 柴溪硏書會,攸好 朴載福,Park Jae Bok]

이미지
  시계연서회 ( 柴溪硏書會 ) 에서 서예가 · 금석학자 유호 ( 攸好 ) 박재복 ( 朴載福 ). 사진 = 권동철 . “ 나는 지하에서 새롭게 출토된 문자자료 ( 고문자학 ) 들을 주로 공부했다 . 이를테면 선진시대 ( 先秦時代 ) 갑골문 , 청동기명문 ( 金文 ), 간백 ( 簡帛 ) 등으로 중국을 주류하며 현지를 직접 발로 뛰면서 공부했다 .”   서울군자역 인근 , 한국서단의 거목 검여 유희강 ( 劍如 柳熙綱 ,1911~1976) 과 남전 원중식 ( 南田 元仲植 ,1941~2013) 서법을 계승하는 시계연서회 ( 柴溪硏書會 ) 서실에서 금석학자이자 서예가 박재복 교수를 만났다 .   “ 나는 자금성 ( 紫禁城 ), 유리창 ( 琉璃廠 ), 법원사 ( 法源寺 ), 옹방강 ( 翁方綱 ) 의 석묵서루 ( 石墨書樓 ), 완원 ( 阮元 ) 이 머물렀던 연성공저 ( 衍聖公邸 ) 등 추사 ( 秋史 ) 김정희 ( 金正喜 ,1786~1856) 가 청나라 때 북경에 와서 다녔던 길을 따라 답사하기도 했다 .”   자학신융구 ( 資學神融句 ), 38×60 ㎝ 한지에 먹 , 2016. 자학겸장 ( 資學兼長 ) 신융필창 ( 神融筆暢 )= 타고난 자질이 높은데다가 학식이 깊으면 정신은 막힘이 없고 붓은 거침이 없다 . 이는 중국 명대 ( 明代 ) 항목 ( 項穆 ) 의 서법아언 ( 書法雅言 ) 내용이다 . 유호 박재복 쓰다 . 사진제공 = 박재복 . 유호 ( 攸好 ) 박재복 (Park Jae Bok, 朴載福 ) 은 1968 년 강원도홍천과 경계에 있는 경기양평산골마을에서 태어났고 초등학교 5 학년 때에 용인으로 이사 왔다 . 87 년 강원대학교에 입학해 서예동아리 ‘ 묵경회 ’ 에서 서예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   92 년 ( 사 ) 유도회 ( 儒道會 ) 에서 사서삼경을 배웠고 99 년 중국유학길에 올라 10 년간 학업에 매진하여 북경대학 고고문박학원 ( 考古文博學院 ) 에서 석사 (2001~2004) 와 박사 (2004~2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