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권동철의 화가탐방]서양화가 이태현③‥한국청년작가연립전(1967년)-‘명(命)1’,‘명(命)2’[이승조,Lee Tae Hyun,이태현 작가,이태현 화백,이태현 미술가]

이미지
  경기도 가평 현등사 ( 懸燈寺 ) 에 소풍가서 이승조와 함께 , 1967 년 . 사진제공 = 이태현 . “ 파리 앵포르멜 열풍이 불고 몇 년 지났을 때였다 . 앵포르멜은 ‘ 제 2 차 세계대전 (1939~1945)’ 이후의 사조였고 , 나도 실제로 6.25 한국전쟁을 봤기 때문에 앵포르멜에 빠져 들어갔다 . 대학에서 기본실기를 충실히 하고 방과 후 추상표현주의 등 실험을 많이 했었다 .   ( 위 )1967 년 무동인 2 회전 ( 展 ) 카타로그 ( 아래왼쪽 ) 命 Ⅰ , 140×70 ㎝ , 합판 , 군용배낭 , 군용방독면 , 1967~2001. 사진 = 권동철 (2022.12.5.) 나는 1963 년 홍익대 미대를 졸업 한 후 군에 입대했다 . 66 년에 제대를 하고 보니 앵포르멜이 쇠퇴기에 들어갔다 . 나는 ‘ 무동인 ’, ‘ 한국청년작가연립전 ’ 으로 들어갔다 . 당시 군대에서 제대 한지 오래지 않았기 때문에 ‘ 군과 나 ’, ‘ 나와 사회 ’ 에 대한 네오다다 (Neo-Dada) 예술과 사회에 대한 고뇌를 하고 있었다 .   그 때 무동인 2 회전 ( 展 ) 이 열린 중앙공보관 (1967 년 , 6 월 ) 에서 발표한 작품이 ‘ 명 ( 命 )1’, ‘ 명 ( 命 )2’ 이다 . 그해 12 월에는 한국청년작가연립전 ( 韓國靑年作家聯立展 ) 을 개최하게 된다 . 1) ”   ( 왼쪽 )1967 년 한국청년작가연립전 카탈로그 표지 ( 오른쪽 ) 전시카탈로그 내지에 수록된 이태현 작품과 정보 . 자료제공 = 이태현 . ◇ 근원적 변혁의 요청 ‘ 청년작가연립전 ’ 은 ‘ 무 ’ 동인과 새롭게 발족한 ‘ 신전 ’ 동인 그리고 ‘ 오리진 ’ 의 세 그룹에 의한 연립전이었다 . 이들이 보여준 작품의 성향은 당시까지 풍미한 뜨거운 추상표현을 벗어난 네오다다 (Neo-Dada) 적 경향 , 옵티컬 (Optical) 한 경향 등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새로운 경향들이었다 . 현상을 벗어나야겠다는 절실한 욕구가 팽배해 있었으면서도 누군가 이에 촉매역할을 해

[미술서평]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그룹’ 발간 [Lee Yil,李逸,이일 미술비평가,이일 미술평론가,갤러리 스페이스21,오광수,서승원,박석원,심문섭,이강소,최명영,김구림]

이미지
  ( 왼쪽 ) 미술평론가 이일 ( 오른쪽 ) 표지 . 자료제공 = 스페이스 21 지난해 2023 년 5 월 10~6 월 24 일까지 ‘ 갤러리 스페이스 21 ’ 에서 열린 ‘ 비평가 이일과 1970 년대 AG 그룹 ’ 전시의 일환으로 동명 ( 同名 ) 의 도서가 발간됐다 . 지금으로부터 50 여 년 전인 1970 년대 젊은 평론가와 작가들이 열정적으로 미술운동을 해 나갔던 시대를 관통한다 .   책의 구성은 △ 1960~90 년대 한국미술계에 미술비평 ( 미술평론 ) 개념을 인식시키고 한국현대미술의 방향성에 초석을 다진 미술비평가 이일 (Lee Yil, 李逸 ,1932~1997) 의 6 편 ( 篇 ) 글모음 △ 오광수 , 서승원 , 심문섭 , 이강소 , 최명영 , 김구림 등 AG( 한국아방가르드협회 ) 그룹 작가인터뷰 △ 정연심 에세이 ‘ AG(Avant-Garde) 그룹의 실험미술 전시 ’ 등이다 .   ‘ 갤러리 스페이스 21 ’ 이유진 ( 유족 , 딸 ) 대표는 ‘ 비평가 이일과 1970 년대 AG 그룹 ’ 전시 및 출간의미 배경을 밝히고 있다 . “ 풍요롭지 않은 시대에 젊은 작가들이 모여 시대의 모순과 억압을 표출하며 전위 미술을 펼쳤던 1970 년대 실험 정신은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재조명해야 하는 중요 연구 과제입니다 . 이 실험정신은 예술가라면 응당 갖춰야 할 자질이며 그 작가 정신을 이번 전시에 조명해 보고자 했습니다 . ”   프랑스 비평가 Laurence Pestelli 초청 강연회에서 통역 , 1978. 자료제공 = 스페이스 21 ◇ 미술평론가 이일 -6 편 ( 篇 ) 글 ( 부분발췌 ) 전위미술론 - 그 변혁의 양상과 한계에 대한 시론 사실인즉 예술이 새로운 사회구조와 이에 적응되는 기본적 정신구조의 가장 합당한 표현일 때 그 예술은 새로운 언어의 창조하는 모든 ‘ 산 예술 ’ 로서 공통된 기본과제를 추구하며 그 과제인즉슨 모든 형태의 전위의 본질을 규정짓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

[South Korean sculptor Park Suk Won]조각가 박석원‥자연과 인공 동·서양 융합의 현상학

이미지
  전시장에서 포즈를 취한 조각가 박석원 . 사진 = 권동철 . “ 만물들은 서로 의존하는 데에서 그 존재와 본성을 얻는 것이지 ,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다 . 1) ”   한국현대기하추상조각 선구자 박석원 (1942~) 작가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 4.19 혁명을 거쳐 온 세대다 . AG( 한국아방가르드협회 ,69), 한국현대조각회창립멤버 (69) 로서 70 년대 한국미술전환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인위와 자연성의 조화로운 융합사유의 행보를 보인다 .   조각과 한지평면작품 전시공간은 정결한 느낌의 아우라를 자아낸다 . 박석원 예술의 주요매체인 돌 , 나무 , 한지 , 흙 , 철 등 유 · 무기체를 아우르는 매우 본질적이며 유동적 재료들의 관계성을 통해 생명세계의 충일과 확장을 보여준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작품들엔 사물의 최소공간에 오브제를 현시 ( 顯示 ) 함으로써 본질을 더욱 명확하게 부각시키는 , 그럼으로써 박석원 예술의 동 · 서양 융합의 환원세계라는 단일성을 모색하는 방법론을 취한다 .   인공과 자연성의 융화를 통한 회귀지점에 작가의 본질적인 직관이 스며있다 . 그것은 궁극의 사물다움 , 미니멀 (Minimal) 한 모습으로의 거듭 태어남이다 . 동시에 존재의 심층이 스스로 만들어내는 어떤 운동의 이치가 본질로의 관계성을 찾아가도록 수행도량을 담보해 내는 경지의 상태에 진입했음을 드러내는 것과 다름 아니다 .   그럼으로써 삼라만상 생성과 소멸의 인과율 그 비유비공 ( 非有非空 ) 이 선사하는 순수정신성의 발자취는 관람자에게 자아와 사물의 존재에 대한 성찰을 고양시킨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전시장의 입체와 평면작업이 경계를 허문 채 물 흐르듯 서로를 받쳐주고 때로는 먼발치서 조용히 응시하며 서로의 존재를 빛나게 하는 시방 ( 十方 ) 의 세계관 앞에서 쉽게 발길을 떼지 못했다 . 취재하는 내내 세월의 깊이와 미묘한 우수가 배어나는 작곡가 한스 짐머 ‘

[South Korea Painter Lee Tae Hyun]서양화가 이태현‥생성과 소멸 불멸의 기하학[이태현 미술가]

이미지
  Space84120-1, 72.5×90.5 ㎝ , Oil on Canvas, 1984 “ 모든 종소리 잠들었다가 어느 날 꽃으로 피어서 …… 1) ”   영원을 품은 하루가 환희처럼 동트고 있네 . 부드러운 첼로선율 같이 느릿하게 흘러가는 만곡 ( 彎曲 ) 의 물살이 여명을 껴안는 시각 . 마침내 물과 불이 하나 되는 매혹의 공간감 , 충만한 겹꽃으로 피어나는 저 부용이 장엄한 화엄 ( 華嚴 ) 을 맹렬히 감싼다 .   아 바람 속으로 들어가 바람이 되고 스스로 꽃이 되는 운율이 역동의 기운으로 번진다 . 빼곡했던 은하가 자리를 비워준 새벽녘하늘 . 저 허 ( 虛 ) 의 공간으로 새 한 마리 높이 날아가누나 !   “ 고요함 , 그것을 경배하라 . 그는 그것으로 와서 , 그것으로 돌아갈지니 , 그 속에서 숨을 쉬고 있으므로 . 2) ”   Space8004, 162×130.3 ㎝ , Oil on Canvas, 1980 ◇ 가없는 빛살과 어둠의 행익 작업은 바탕을 단일하게 만들고 테이프로 완만한 선을 만드는 방법론을 구사한다 . 한옥지붕의 용마루나 한복소매 , 휘어진 활의 선형을 통해 인과의 조화로움을 얻는 현수곡선의 조형성이 스며있다 . 그 위에 색채변화를 준다 . 그라데이션은 어두움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과 공명요소를 직관적으로 내비친다 .   하여 무아정적 ( 無我靜寂 ) 의 세계와 조응하는 생명의 영혼으로 고취시키는 깊은 울림이 퍼져 나오는 것이다 . “ 새벽이 오고 다시 낮이 그다음 어두워져 밤이 되는 우주 삼라만상의 존엄한 순환과 변화를 표출시키려 고심했었다 . 막힘없이 풍성한 현수곡선에서 마침내 영감을 얻었다 . 3) ”   Space80505, 130.3×130.3 ㎝ , 1980 화면은 자연의 무위에 순응하는 형상화의 밀도로 드러난다 . 긴장감으로 덮인 시공의 운동성은 오묘하게 명상적 광경 속으로 인도하고 궁극의 일체 , 범아일여 ( 梵我一如 ) 를 일깨우는 순수마음을 자아내게 한다 .   광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