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전시]서양화가 손미라 초대개인전, 10월15~27일, 유나이티드갤러리[손미라 작가,ARTIST SON MIRA,UNITED GALLERY]

이미지
  心眼 의 풍경 , 116.8×91 ㎝ Acrylic on canvas, 2025. ‘ 심안의 풍경 ( 心眼 의 風景 )’ 손미라 작가 열아홉 번째 초대개인전이 서울지하철 2 호선 강남역 인근 , 유나이티드갤러리 (UNITED GALLERY) 에서 10 월 15 일부터 27 일까지 열린다 . 특히 이번전시는 작품세계를 확장한 단색조 (Monochromatic) 10 여점을 중심으로 총 40 여점을 선보인다 . 心眼 의 풍경 , 80×80 ㎝ Acrylic on canvas, 2025. 일상과 기억의 자국에서 발현되는 고요하고 평온한 화폭은 살아 숨 쉬는 생명성의 밸런스를 보여준다 . 자신의 흔적을 쌓은 화면 밑 색은 은은하게 묻어나오며 , 울컥 눈물이 솟는 블루 (blue) 처럼 깊은 비의 ( 悲意 ) 를 조율한다 . 생성과 소멸 그리고 마침내 회귀 ( 回歸 ) 의 자국으로 우러나는 과거 · 현재 · 미래를 이어주는 무의식의 순수영혼 … .   서울인사동 조용한 카페에서 만난 손미라 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 “ 무위 ( 無爲 ) 의 색채 속에서 나는 비움을 체득하고 정련 ( 精鍊 ) 하듯 단색을 쌓는다 . 몸이 색을 원하고 나는 그것을 풀어주고 있는 것이다 . 그것은 화가의 숙명 , 기품 우러나는 화폭을 위한 고통의 여정이다 . 이번전시에서 관람자와 소통하며 깊은 사유의 공감을 소망한다 .”   心眼 의 풍경 , 116.8×91 ㎝ Acrylic on canvas, 2025. 한편 손미라 작가 (ARTIST SON MIRA) 는 세종대학교 회화학과 ( 서양화 ) 졸업했다 . 갤러리 라메르 (2023), 한전갤러리 (2019), 세종갤러리 (2011) 등에서 다수개인전을 가졌다 .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 서울오픈아트페어 , 대구아트페어 , 화랑미술제 (BEXCO) 등 다수 아트페어에 출품했다 . [ 글 = 권동철 미술전문기자 · 전문위원 , 9 월 28 일 2025. 인사이트코리아 ]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2017년 ‘김재관-기하학적 추상미술 50년’초대개인전,영은미술관,방효성 행위예술가,창신 苍鑫 Cang Xin 중국행위예술가,이건용 화백,우노 가츠유키 UNO Kazuyuki,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

이미지
  2017 년 영은미술관 ‘ 김재관 - 기하학적 추상미술 50 년 ’ 초대개인전 ‘ 작품 앞에서 . ( 왼쪽부터 ) 방효성 행위예술가 , 창신 ( 중국행위예술가 ), 김재관 , 이건용 화백부부 , 우노 가츠유키 ( 일본화가 ). 사진제공 = 김재관 . “2017 년 ‘‘ 김재관 - 기하학적 추상미술 50 년 ’ 초대개인전 ’ 이 영은미술관에서 열렸다 . 방효성 행위예술가 , 창신 ( 苍鑫 Cang Xin, 중국행위예술가 ), 김재관 , 이건용 화백부부 , 일본화가 우노 가츠유키 (UNO Kazuyuki) 가 찾아주었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2016년 사라예보 작가 유숩 하지페조비치(Jusuf Hadžifejzović),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

이미지
( 왼쪽 ) 사라예보 작가 유숩 하지페조비치 (Jusuf Hadžifejzović) 와 김재관 . 사진제공 = 김재관 .   “2016 년 강원도 원주 ‘ 뮤지엄 산 ’ 에서 사라예보 작가 유숩 하지페조비치 (Jusuf Hadžifejzović) 와 함께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제56회 베니스비엔날레-특별전(Jump into the Unknown 2015) 한국커미셔너(Commissioner of Korea),설치행위예술가 박병욱,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

이미지
  2015 년 제 56 회 베니스비엔날레 특별전에서 . ( 왼쪽부터 ) 이태리 커미셔너 빅토리오 어바니 , 그로지아 커미셔너 마그다 그룰리 , 김재관 , 총감독 박병욱 . 사진제공 = 김재관 . “ 제 56 회 베니스비엔날레의 특별전 ‘Jump into the Unknown 2015’ 엔 3 명의 공동 커미셔너가 함께했다 . 나는 그 중 한국커미셔너 (Commissioner of Korea) 로 참여하였다 . 특별전행사의 총감독은 박병욱 설치행위예술가가 맡았다 . 나는 한국작가 7 명을 선정하여 전시진행을 하였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2013년 강원도정선 ‘삼탄아트마인 현대미술관 CAM’개관전(展),하종현 교수,한기주 화백,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

이미지
  ‘ 삼탄아트마인 현대미술관 CAM’ 개관전 ( 展 ) 나의 작품 앞에서 . ( 왼쪽부터 ) 한기주 화백 , 김재관 , 하종현 교수 . 사진제공 = 김재관 . “2013 년 강원도정선 ‘ 삼탄아트마인 현대미술관 CAM’ 개관전 ( 展 ) 나의 작품 앞에서 . 하종현 교수 , 한기주 화백과 함께했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2005년 ‘쾰른 아트페어(Art Cologne)’,청작갤러리,하종현 화백,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2005 년 독일 ‘ 쾰른 아트페어 (Art Cologne)’ 김재관 부스 . ( 왼쪽부터 ) 청작갤러리 손성례 대표 , 하종현 관장 , 김재관 . 사진제공 = 김재관 . “2005 년 ‘ 쾰른 아트페어 (Art Cologne)’ 나의 부스에서 . 청작갤러리 손성례 대표 , 하종현 화백 그리고 나와 함께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2003년 나가사키 브릭 홀 갤러리(Nagasaki Brick Hall Gallery),큐브(Cube)시리즈,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

이미지
  일본 ‘ 나가사키 브릭 홀 갤러리 (Nagasaki Brick Hall Gallery)’ 큐브 (Cube) 시리즈 작품 앞 . 사진제공 = 김재관 . “2003 년 일본 ‘ 나가사키 브릭 홀 갤러리 (Nagasaki Brick Hall Gallery)’ 나의 큐브 (Cube) 시리즈 작품 앞에서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 2002년 가모갤러리(GAMO GALLERY) 개인전, 오광수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kim Jai Kwan, 화가 김재관, 김재관 화백, 김재관 작가, 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2002 년 가모갤러리 개인전에서 ( 왼쪽 ) 오광수 현대미술관 관장과 함께 . 사진제공 = 김재관 . “2002 년 서울삼청동 가모갤러리 (GAMO GALLERY) 개인전에서 오광수 국립현대미술관 관장과 함께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2000년 김재관 미술가-이카와 세이료(井川惺亮,いかわ せいりょう)2인 초대전,마키(眞木)-다무라(田村)화랑,다케우치 카즈노리(武内カズノリ),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마키 ( 眞木 )- 다무라 ( 田村 )’ 갤러리에서 ( 왼쪽부터 ) 김재관 , 다케우치 카즈노리 ( 武内 カズノリ ), 이카와 세이료 ( 井川惺亮 , いかわ せいりょう )’, 2000. 사진제공 = 김재관 .   “2000 년도 도쿄 ‘ 마키 ( 眞木 )- 다무라 ( 田村 )’ 갤러리에서 나와 나가사키국립대학 ( 長崎大学 ) 미술교육학부 교수이었던 ‘ 이카와 세이료 ( 井川惺亮 , いかわ せいりょう )’ 교수가 ‘ 규율과 감성 ’ 2 인초대전을 가졌다 . 가운데는 일본작가 다케우치 카즈노리 ( 武内 カズノリ ) 이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1990년대 후반 ‘큐브(Cube)’시리즈,김재관 교수,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1990 년대 후반 ‘ 큐브 (Cube)’ 시리즈 작업 중인 김재관 교수 . 사진제공 = 김재관 .   “1990 년대 후반 ‘ 큐브 (Cube)’ 시리즈 대표적 작품 중 하나를 제작 중이다.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1996년 프랑스파리 피카소미술관, 김태호 홍익대 교수, 하종현 홍익대미대 학장,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

이미지
  ( 왼쪽부터 )1996 년 김태호 홍익대 교수 , 하종현 홍익대미대 학장 , 김재관 . 사진제공 = 김재관 .   “1996 년 김태호 홍익대 교수 , 하종현 홍익대미대 학장과 함께 프랑스파리 피카소미술관에서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인터뷰]사진작가 이현권‥“나는 마음을 예술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아티스트”[이현권 작가,Lee Hyun Kwon, 이현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한강’전문사진작가]

이미지
  한강에서 사진작가 이현권 . 사진 = 권동철 . “‘ 한강 ’ 연작은 나의 마음이 반영된 우리가 공유하는 공간에 대한 작업이다 . 반복되는 인간의 삶처럼 나는 한강을 반복하며 걷는다 . 수없는 반복의 시간 속에서 동일함이 아닌 새로운 시간을 느끼며 , 그 새로움은 예술형식으로 표현된다 .   또한 한강은 과거와 연결된 순간의 나를 표상하며 지금의 나를 발견하게 한다 . 이것은 무의식을 발견하는 정신분석과정과 유사하다 . 때문에 나의 작업관념체계는 인간의 정신세계인 무의식의 시각화라고 말할 수 있다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2.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사진작가인 이현권 작가는 15 년 동안 한강을 걷고 바라보며 작품을 발표해 오고 있다 . 오는 10 월 22 일부터 11 월 3 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 ‘ 갤러리 그림손 ’ 에서 ‘ 한강을 걷다 2021-2025’ 개인전을 갖는다 .   “ 한강은 나에게도 또 동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 중요한 역사성의 위치에 있다 . 그러한 공간에 나만의 예술형식을 입히는 것이 내 작업가치이기도 하다 . 한강이 한 작가의 시선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찾아와 느끼시면 좋겠다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2. 한편 ‘ 나 ’ 는 어떤 아티스트인가를 물어보았다 . “ 나는 인간의 정신을 경험하고 연구하듯 동시에 그 마음을 예술로 승화시켜 표현하는 작가이다 . 시간은 기억을 축적하여 정신을 형성하지만 , 인간은 여전히 새로운 시간과 반응하는 감각과 감정을 통해 ‘ 살아있음 ’ 을 느낀다 . 나는 그러한 순간과 감응하는 나의 전체를 표현하는데 깨어 있으려 한다 .”   [ 글 = 권동철 , 9 월 4 일 2025. 9 월호 인사이트코리아 ]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1996년 프랑스파리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Gallery Claude Dorval,재불작가 신성희,박서보 화백,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

이미지
  1996 년 파리 ‘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 (Gallery Claude Dorval)’ 개인전에서 . 사진제공 = 김재관 . “1996 년 프랑스파리 ‘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 (Gallery Claude Dorval)’ 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 이곳은 프랑스 파리의 기하학적 추상전문 갤러리이다 .   1996 년 , 파리 ‘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 (Gallery Claude Dorval)’ 개인전에서 . ( 왼쪽부터 ) 재불작가 신성희 , 김재관 , 박서보 화백과 함께 . 사진제공 = 김재관 . 개인전 오프닝 때 파리 , 유럽의 작가들과 한국의 박서보 , 재불작가 신성희가 참석해 주었다 . 당시 전시자체와 작품도 굉장히 유럽화단에서 주목받았던 매우 의미가 큰 전시였다 . 이 전시이후 나는 더욱 활발하게 국내외 전시를 하게 되었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