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인터뷰]한국의 기하학적추상미술가 김재관‥“그리드의 형성과 해체를 일생 추적해 온 것이 나의 예술”[artist Kim Jai Kwan,김재관 작가,화가 김재관, 김재관 화백]

이미지
  작업실에서 김재관 화백 . 사진 = 권동철 . “ 기하학적 추상에 대해 독자적으로 연구하던 초기시절 , 평면이라는 것은 그리드 (Grid) 이고 격자 ( 格子 ) 이자 동시에 그물망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 그 후 회화적으로 어떤 실체를 낚아 올리는 베이스가 되었다 . 근래의 화두는 자연에 가장 가까운 그리드구조는 무엇인가이다 . 선 움직임의 작용과 반작용 , 율동과의 조화로운 색상 등을 단순하게 표현하고 있다 .”   초여름 충북청주소재 김재관 화백의 높은 작업실 천장으로 인근 숲의 새들이 찾아들어 청아한 새소리를 들으며 인터뷰 했다 .   律 ( 율 ) 과 色 ( 색 ), 80.3×116.7 ㎝ , Acrylic on canvas, 2025.   화가 김재관 (Korean geometric abstract artist Kim Jai Kwan, 金在寬 , 1947~) 은 청주고 ,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및 동 대학원 ( 미술학 박사 ) 졸업했다 . 청주대학교 교수 (1980~2012) 역임했다 . 갤러리 현대 , 마키 ( 眞崎 )- 다무라 ( 田村 ) 갤러리 ( 도쿄 ), 청주시립미술관 , 통인화랑 , 황창배미술관 등에서 다수 개인전을 가졌고 문신미술상 (2012), 하종현미술상특별작가상 (2019) 등을 수상했다 .   화백에게 ‘ 화가의 길 ’ 에 대한 고견을 청했다 . “ 처음에 그림재주가 있어서 시작은 했는데 그림이 무엇인지 , 무엇을 그려야 하는가를 몰랐었다 . 다행히 스승님도 선배도 모두 화가였다 . 그분들의 작품을 보면서 내 길을 어떤 식으로 가야되나 생각하며 정진했다 .   돌아보면 딜레마에 빠졌을 때 다시 눈을 뜨는 시간이 온다는 것이다 . 나의 경우 1990 년대 박사과정 5 년을 하면서 발견한 그리드조형세계의 전개 · 변혁 · 해체 등의 과정이 오늘에 올 수 있었던 가장 큰 동인 ( 動因 ) 이었다 .”   [ 글 = 권동철 , 7 월 15 일 2025....

한국의 기하학적추상미술가 김재관‥마음의 원형 시공의 현상학[Korean geometric abstract artist Kim Jai Kwan,추사 김정희,우암 송시열, 황창배 화백,김재관 작가,화가 김재관, 김재관 화백]

이미지
  Destiny( 운명 ), 150×250 ㎝ , Acrylic color on Canvas, 2023~2001. “ 서리는 맑고 하늘은 높으며 , 강은 공허하고 나뭇잎은 떨어지니 , 천시 ( 天時 ) 는 또 이렇게 한번 변하였는데 … 변 ( 變 ) 과 불변 ( 不變 ) 의 사이에 있어 대강 어림잡아 보아 넘어가기는 쉽고 정밀하게 집어내서 이해하기는 어려움이 과연 이와 같단 말입니까 ?1)”   햇살이 드리우자 문창호지 사이 꽃잎이 오묘한 빛깔의 향연으로 아렴풋 피어났다 . 테너 페터 슈라이어 (Peter Schreier) 의 맑고 중후한 목소리에 실린 ‘ 바흐 칸타타 BWV 140’ 이 ‘ 눈을 뜨라 부르는 ’ 울림으로 번져간다 . 세월의 심연으로부터 깨어나는 ‘ 운명 ’ 이라는 이름의 책갈피 ‥ .   “ 그렇지만 왜 차라투스트라는 아직 아무 말도하지 않는 것인가 ? ‥ 영원회귀를 선별적 사유로 생각하고 영원회귀 안의 반복을 선별적 존재로 생각한다는 것은 지고한 시험이다 . 이제 생각하고 살아내야 하는 것은 빗장이 풀린 시간 , 직선 위에 놓인 시간이 2)” 주인이다 . 律 과 色 , 86.5×64 ㎝ , 2025.   ◇ 평면의 증명 회화공간으로 귀착 화면엔 붓질을 반복하여 펴 놓은 어두운 그리드 (Grid) 를 관통하고 지나가는 빛과 선 같은 중첩이 , 이중노출 ( 二重露出 ) 로 우러난다 .   “ 인간의 표상작용이 언제 어디에서나 어떤 방식으로든 근거를 탐구하고 , 근거를 정립하고 있다는 사실을 숙고하는 한 ‥ 근거율 (Satz Vom Grund) 은 모든 근거명제들 중의 근거명제 3)” 이듯 , 김재관 화백의 그리드는 평면자체를 증명하고 동시에 회화공간으로 귀착시킨다 .   김재관 화백의 “ 실재의 차원을 벗어나 픽션 (F iction ) 으로서의 공간실현과 삼차원 입방체 (C ube) 의 독특한 비의성 (Secretness) 그리고 자연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에 접근하는 4)” 것은 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