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서양화가 이창조‥“나에게서 ‘소나무’작업은 구도이자 자화상”[이창조 화백,이창조 작가, Painter Lee Chang Jo, 추사 김정희, 추사 오마주
작업 중인 이창조 작가 . 사진 = 권동철 . “ 내 성품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화의 ( 畫意 ) 로서의 ‘ 소나무 ’ 이다 . 잘려나가고 꺾인 굴곡진 풍파에도 선비정신과 기개를 잃지 않는 끈기 있는 그 힘에 매료된다 . 무엇보다도 소나무의 근본적인 정신을 내 화업에서 찾으려 한다 .” 가을비 낙숫물소리가 툭툭 떨어지며 세월의 기억들이 처마에 걸려 철없이 아롱거리던 날이었다 . 경기광주퇴촌 이창조 작가 작업실을 찾았다 . “ 나는 전주 ( 全州 ) 도심에서 자랐다 . 유년시절 집에서 잔치를 하면 소리꾼을 불렀다 . 판소리와 춤이 있는 풍류 ( 風流 ) 가 자연스럽게 배어 있었다 . 그렇게 ‘ 우리 것의 멋 ’ 을 보고 느끼며 성장했는데 그런 귀한 감성이 내 작업의 근간이 되고 있다는 것에 늘 감사하다 .” 추사 오마주 (Chusa hommage)- 천년의 은일 , 130.3×97.0 ㎝ oil on canvas, 2023.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장로 ( 長老 ) 인 이창조 (Lee Chang Jo, 李昌朝 ,1961~) 화백은 전라고등학교 ,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졸업했다 (1988). 개인전 10 회를 가졌다 . ‘ 소나무 ’ 작업에 대한 작가의 본원 ( 本源 ) 을 듣고 싶었다 . “ 전주는 문사 ( 文士 ) 에 뿌리를 둔 남종화 ( 南宗畵 ) 를 자주 쉽게 볼 수 있는 환경이었다 . 지금도 기억이 생생한데 , 고등학교 2 학년 때 미술반학생들을 데리고 선생님이 짜장면 집에 데리고 가서 어떤 글씨 앞에서 설명을 해주셨는데 바로 추사 김정희 글씨였다 . 내용은 깊게 몰랐지만 가슴이 뛰며 정말 좋았던 강렬한 기억이 꾸밈없이 지금까지 연결되어 진다고 여긴다 . 나에게서 ‘ 소나무 ’ 작업은 구도 ( 求道 ) 이자 자화상이다 .” [ 글 = 권동철 , 11 월 3 일 , 인사이트코리아 11 월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