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인터뷰]사진작가 이현권 개인전‥나와 한강의 경계가 사라지는 순간이 나의작품[갤러리 그림손, 10월22~11월3일,이현권 작가,photographer Lee Hyun Kwon,GALLERY GRIMSON]

이현권 작가 (photographer Lee Hyun Kwon). < 사진제공 = 이현권 > 오는 10 월 22 일부터 11 월 3 일까지 서울인사동 ‘ 갤러리 그림손 (GALLERY GRIMSON)’ 에서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1-2025’ 개인전을 앞두고 있는 이현권 사진작가 ·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를 서울명동에서 만났다 . 15 년째 한강작업에 천착해 오고 있다 . - 더위 때문에 이번 개인전을 위한 여름작업이 힘들지 않으셨나요 . 한강에 서면 더위가 온몸을 덮치고 정신이 혼미해 질 정도였습니다 . 그러나 강 주변의 독특한 열돔 (heat dome) 에도 불구하고 걷는 이들 , 뛰는 이들 , 강을 바라보고 있는 이들 , 그들은 모두 한강을 곁에 두고 느끼고 있습니다 . 나는 카메라를 메고 이동하며 작업하다보니 온 몸이 땀에 젖는데 나름 신선한 쾌감도 있습니다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2. - 한강에 대한 소회 ( 所懷 ) 라고 할까요 . 조금만 더 강 ( 江 ) 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새소리 , 전철과 자동차가 지나가며 남긴 소리의 흔적 , 사람들의 재잘거리는 여운이 마치 강물에 유영 ( 游泳 ) 하는 듯 느끼게 됩니다 . 그리고 그들이 사라진 어둠내린 한강에도 유령처럼 생명의 숨결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강물이 품은 자장 ( 磁場 ) 에너지의 온기가 전해 오지요 . 나는 가능한 공감각 (synesthesia) 위해 오감을 열어놓고 그 공간의 경계를 천천히 서성이기도 하고 걷기도 합니다 . 물론 시선을 한강에서 거두지 않은 채 말입니다 . - 2010 년부터 한강작업을 시작하셨는데 ‘ 이현권 한강미학론 ’ 을 말씀 주신다면 ? 한강은 내 마음에 존재하는 여러 감정의 덩어리와 결합하고 나의 내면으로 스며듭니다 . 나와 한강의 경계가 사라지는 순간입니다 . 그때 비로써 나의 사진은 그 찰나의 면 ( 낯 ) 을 시각화하고 탈공간화된 한강으로 탄생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