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인터뷰]사진작가 이현권 개인전‥나와 한강의 경계가 사라지는 순간이 나의작품[갤러리 그림손, 10월22~11월3일,이현권 작가,photographer Lee Hyun Kwon,GALLERY GRIMSON]

이미지
  이현권 작가 (photographer Lee Hyun Kwon). < 사진제공 = 이현권 > 오는 10 월 22 일부터 11 월 3 일까지 서울인사동 ‘ 갤러리 그림손 (GALLERY GRIMSON)’ 에서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1-2025’ 개인전을 앞두고 있는 이현권 사진작가 ·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를 서울명동에서 만났다 . 15 년째 한강작업에 천착해 오고 있다 .   - 더위 때문에 이번 개인전을 위한 여름작업이 힘들지 않으셨나요 . 한강에 서면 더위가 온몸을 덮치고 정신이 혼미해 질 정도였습니다 . 그러나 강 주변의 독특한 열돔 (heat dome) 에도 불구하고 걷는 이들 , 뛰는 이들 , 강을 바라보고 있는 이들 , 그들은 모두 한강을 곁에 두고 느끼고 있습니다 . 나는 카메라를 메고 이동하며 작업하다보니 온 몸이 땀에 젖는데 나름 신선한 쾌감도 있습니다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2. - 한강에 대한 소회 ( 所懷 ) 라고 할까요 . 조금만 더 강 ( 江 ) 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새소리 , 전철과 자동차가 지나가며 남긴 소리의 흔적 , 사람들의 재잘거리는 여운이 마치 강물에 유영 ( 游泳 ) 하는 듯 느끼게 됩니다 . 그리고 그들이 사라진 어둠내린 한강에도 유령처럼 생명의 숨결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강물이 품은 자장 ( 磁場 ) 에너지의 온기가 전해 오지요 . 나는 가능한 공감각 (synesthesia) 위해 오감을 열어놓고 그 공간의 경계를 천천히 서성이기도 하고 걷기도 합니다 . 물론 시선을 한강에서 거두지 않은 채 말입니다 .   - 2010 년부터 한강작업을 시작하셨는데 ‘ 이현권 한강미학론 ’ 을 말씀 주신다면 ? 한강은 내 마음에 존재하는 여러 감정의 덩어리와 결합하고 나의 내면으로 스며듭니다 . 나와 한강의 경계가 사라지는 순간입니다 . 그때 비로써 나의 사진은 그 찰나의 면 ( 낯 ) 을 시각화하고 탈공간화된 한강으로 탄생됩...

[권동철의 한국현대미술脈-理氣와 추사 김정희①]한(漢)나라 비각(碑刻)과 추사 김정희[예서,팔분체,옹방강,완원,비학(碑學),후지 츠카 치카시(藤塚鄰),후지츠카 아키나오(藤塚明直),마츠바라 사브로(松原三郞),낭야군계역각석(琅琊郡界域刻石),금석학자·서예가 유호 박재복,삼로기일비(三老忌日碑),한인명(韓仁銘),박재복 경동대학교 교수,화암사,Park Jae Bok

이미지
  신 ( 新 ) 12 년 낭야군계역각석 ( 琅琊郡界域刻石 ) 탁본 . 240×115 ㎝ . “ 서한과 동한시대 중간인 왕망 ( 王莽 ) 의 신 ( 新 ) 나라 때 각석탁본이다 . ‘ 東海郡朐與琅琊郡櫃爲界 , 因諸山以南屬朐 , 水以北屬櫃 , 西直況其 , 口與櫃分高口爲界 , 東各承無極 . 始建國四年二月朔乙卯 , 以使者徐州牧治所書造 .’ 와 같이 60 여 글자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 < 사진제공 · 해설출처 = 유호 ( 攸好 ) 박재복 ( 朴載福 ) 개인전 - 진한문자전 ( 秦漢文字展 ) 도록 ,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 8.6~12, 2025.> “ 서와 화 ( 畫 ) 는 도가 한 가지이다 .1)” 중국서한과 동한시대 중간인 신 ( 新 ) 의 ‘ 낭야군계역각석 ’ 을 추사가 보았다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 추사생존 때는 발굴되지 않았던 , 삐뚤삐뚤하지만 억겁풍상을 이겨낸 우주질서의 숨결을 품은 탁본은 추사가 만년에 남긴 무기교의 순수유희 ‘ 판전 ( 板殿 )’ 서체와 묘하게 오버랩 되었다 .   ( 왼쪽 ) 동한 ( 東漢 ) 52 년 삼로기일비 ( 三老忌日碑 ) 탁본 . 45×91 ㎝ . “ 삼로비 ( 三老碑 ) 는 전서 ( 篆書 ) 와 예서 ( 隸書 ) 이 과도기적인 서체로 , 동한 건무 ( 建武 ) 28 년 (52) 에 건립했다 .” ( 오른쪽 ) 동한 ( 東漢 ) 175 년 한인명 ( 韓仁銘 ) 탁본 , 97×185 ㎝ . “ 한인명 ( 韓仁銘 ) 은 동한 ( 東漢 ) 희평 ( 熹平 ) 4 년 (175 년 ) 11 월 22 일에 예서 ( 隸書 ) 로 새긴 비문으로 전체의 명칭은 ‘ 한순리고문희장한인명 ( 漢循吏古聞憙長韓仁銘 )’ 이라고 한다 .” < 사진제공 · 해설출처 = 유호 ( 攸好 ) 박재복 ( 朴載福 ) 개인전 - 진한문자전 ( 秦漢文字展 ) 도록 ,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 8.6~12, 2025.>   중국문자는 상 ( 商 ) 갑골문 , 주대 ( 周代 ) 청동기에 새겨진 금문 ( 金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