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 2002년 가모갤러리(GAMO GALLERY) 개인전, 오광수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kim Jai Kwan, 화가 김재관, 김재관 화백, 김재관 작가, 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2002 년 가모갤러리 개인전에서 ( 왼쪽 ) 오광수 현대미술관 관장과 함께 . 사진제공 = 김재관 . “2002 년 서울삼청동 가모갤러리 (GAMO GALLERY) 개인전에서 오광수 국립현대미술관 관장과 함께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2000년 김재관 미술가-이카와 세이료(井川惺亮,いかわ せいりょう)2인 초대전,마키(眞木)-다무라(田村)화랑,다케우치 카즈노리(武内カズノリ),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마키 ( 眞木 )- 다무라 ( 田村 )’ 갤러리에서 ( 왼쪽부터 ) 김재관 , 다케우치 카즈노리 ( 武内 カズノリ ), 이카와 세이료 ( 井川惺亮 , いかわ せいりょう )’, 2000. 사진제공 = 김재관 .   “2000 년도 도쿄 ‘ 마키 ( 眞木 )- 다무라 ( 田村 )’ 갤러리에서 나와 나가사키국립대학 ( 長崎大学 ) 미술교육학부 교수이었던 ‘ 이카와 세이료 ( 井川惺亮 , いかわ せいりょう )’ 교수가 ‘ 규율과 감성 ’ 2 인초대전을 가졌다 . 가운데는 일본작가 다케우치 카즈노리 ( 武内 カズノリ ) 이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1990년대 후반 ‘큐브(Cube)’시리즈,김재관 교수,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김재관 작가.기하학적추상회화 김재관

이미지
  1990 년대 후반 ‘ 큐브 (Cube)’ 시리즈 작업 중인 김재관 교수 . 사진제공 = 김재관 .   “1990 년대 후반 ‘ 큐브 (Cube)’ 시리즈 대표적 작품 중 하나를 제작 중이다.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1996년 프랑스파리 피카소미술관, 김태호 홍익대 교수, 하종현 홍익대미대 학장,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

이미지
  ( 왼쪽부터 )1996 년 김태호 홍익대 교수 , 하종현 홍익대미대 학장 , 김재관 . 사진제공 = 김재관 .   “1996 년 김태호 홍익대 교수 , 하종현 홍익대미대 학장과 함께 프랑스파리 피카소미술관에서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인터뷰]사진작가 이현권‥“나는 마음을 예술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아티스트”[이현권 작가,Lee Hyun Kwon, 이현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한강’전문사진작가]

이미지
  한강에서 사진작가 이현권 . 사진 = 권동철 . “‘ 한강 ’ 연작은 나의 마음이 반영된 우리가 공유하는 공간에 대한 작업이다 . 반복되는 인간의 삶처럼 나는 한강을 반복하며 걷는다 . 수없는 반복의 시간 속에서 동일함이 아닌 새로운 시간을 느끼며 , 그 새로움은 예술형식으로 표현된다 .   또한 한강은 과거와 연결된 순간의 나를 표상하며 지금의 나를 발견하게 한다 . 이것은 무의식을 발견하는 정신분석과정과 유사하다 . 때문에 나의 작업관념체계는 인간의 정신세계인 무의식의 시각화라고 말할 수 있다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2.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사진작가인 이현권 작가는 15 년 동안 한강을 걷고 바라보며 작품을 발표해 오고 있다 . 오는 10 월 22 일부터 11 월 3 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 ‘ 갤러리 그림손 ’ 에서 ‘ 한강을 걷다 2021-2025’ 개인전을 갖는다 .   “ 한강은 나에게도 또 동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 중요한 역사성의 위치에 있다 . 그러한 공간에 나만의 예술형식을 입히는 것이 내 작업가치이기도 하다 . 한강이 한 작가의 시선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찾아와 느끼시면 좋겠다 .”   서울 , 한강을 걷다 _2022. 한편 ‘ 나 ’ 는 어떤 아티스트인가를 물어보았다 . “ 나는 인간의 정신을 경험하고 연구하듯 동시에 그 마음을 예술로 승화시켜 표현하는 작가이다 . 시간은 기억을 축적하여 정신을 형성하지만 , 인간은 여전히 새로운 시간과 반응하는 감각과 감정을 통해 ‘ 살아있음 ’ 을 느낀다 . 나는 그러한 순간과 감응하는 나의 전체를 표현하는데 깨어 있으려 한다 .”   [ 글 = 권동철 , 9 월 4 일 2025. 9 월호 인사이트코리아 ]  

[권동철의 화가탐방]김재관 미술가,1996년 프랑스파리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Gallery Claude Dorval,재불작가 신성희,박서보 화백,kim Jai Kwan,화가 김재관,김재관 화백,

이미지
  1996 년 파리 ‘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 (Gallery Claude Dorval)’ 개인전에서 . 사진제공 = 김재관 . “1996 년 프랑스파리 ‘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 (Gallery Claude Dorval)’ 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 이곳은 프랑스 파리의 기하학적 추상전문 갤러리이다 .   1996 년 , 파리 ‘ 끌로 드 도르발 갤러리 (Gallery Claude Dorval)’ 개인전에서 . ( 왼쪽부터 ) 재불작가 신성희 , 김재관 , 박서보 화백과 함께 . 사진제공 = 김재관 . 개인전 오프닝 때 파리 , 유럽의 작가들과 한국의 박서보 , 재불작가 신성희가 참석해 주었다 . 당시 전시자체와 작품도 굉장히 유럽화단에서 주목받았던 매우 의미가 큰 전시였다 . 이 전시이후 나는 더욱 활발하게 국내외 전시를 하게 되었다 .   [ 김재관 작가의 말 , 청주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7 월 24 일 2025]”

[화실탐방]서양화가 김성구‥“우리의 것을 우리어린이들에게 가르치는 교육철학이 나의 그림”[김성구 작가,유아교육자 김성구,김성구 미술가,Kim Sung Koo, 金聖九]

이미지
  작업에 몰입하고 있는 김성구 작가 . 사진 = 권동철 . 서울이태원동 소재 , 김성구 작가 화실을 찾았다 . 작업실에 들어서면 중고등학교시절 각종 미술대회에서 수상한 상장들이 빼곡하게 걸려 있었다 . 그리고 일생을 유아교육자로 헌신해 온 작가의 교육철학처럼 환상적이고 위트 넘치는 아이들의 상상세계를 담은 그림이 작업실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   동화 ( 童話 ), 72.7×60.6 ㎝ Acrylic on Canvas, 2024.  김성구 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 “ 아이에게서 생애 첫 교육이 유아교육입니다 . 한사람의 인지능력과 사회성발달에 절대적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내가 한국의 유아교육에 뛰어든 1970 년대는 사회적 환경이 열악했었지요 . 그러나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지난 50 여 년 동안 유아교육에 쏟아 부었다고 자부합니다 .” 부엉이들의 봄 소풍 , 72.7×50 ㎝ (each) Acrylic on Canvas, 2022.  - 유아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 주십시오 . “ 아이들에게 그리기표상의 잠재능력을 끌어 올려 창의성발달을 통한 표현능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죠 . 시각과 촉각의 발달을 통한 공간감의 자기표현을 발휘하여 자신을 나타내고 소통하며 건강한 관계의 형성을 통해 성장해 나가는 것입니다 .”   닭들의 달리기 , 40.9×531.8 ㎝ 나무쟁반 위에 아크릴 , 2024. - 유아교육에서 한국의 정신성에 대한 지도법이 있었다면 … . “ 우리의 것을 우리어린이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나의 교육철학이자 목표입니다 . 나의 그림도 역시 이러한 나의 철학바탕에서 비롯되어진 산물입니다 .”   작업실 옆 김성구 작가가 오랫동안 유아미술교육을 위해 수집해 온 불 그릇 , 화로 , 촛대 등 한국선조들의 유산 . 김성구 작가는 “ 유아교육에서 한국적 정신성의 산물들을 만져보며 체험하는 것은 유아교육에서 살아있는 역사교육이 된다 .” 라고 말했다 . 사진 = 권동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