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사계절 장생도-봄(800호)]서양화가 오유화‥생생한 춘절의 판타지 한국적 토착성의 현대미[2024 MIAF(목우아트페어),규랑 오유화,Oh You Hwa,오유화 화백,오유화 작가,권동철]

이미지
  사계절 장생도 - 봄 , 260.6×648 ㎝ (800 호 ), Oil on Canvas, 2023~2024. 오유화 화백이 2 년에 걸쳐 완성했다 . ‘2024 MIAF( 목우아트페어 )’ 에 출품한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 한국 산하의 아름다움 , 그것이 바로 우리문화의 아름다움이고 특성이다 !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 이렇게 눈앞에 펼쳐진 모습이구나 . 그렇구나 , 쌓이고 쌓인 조상들의 긴 옛이야기와도 같은 것이구나 . 1) ” 오유화 작가 ‘ 사계절 장생도 ’ 는 100 호 캔버스 32 개를 이어 붙이는 3200 호 크기의 ‘ 초대작 ( 超 大作 )’ 프로젝트다 . 일생의 예술혼을 쏟아 부을 6 년여 작업소요기간 중 , 2023~2024 년에 걸쳐 800 호 ‘ 봄 ’ 을 최근 마무리했다 .   지난 12 월 11~24 일까지 서울 인사동길 ‘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 에서 열린 ‘2024 MIAF( 목우아트페어 )’ 에 출품한 ‘ 봄 ’ 은 미술애호가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으며 관객몰이를 했다 . “ 억겁시간 풍상을 이겨내고 제 모습을 간직하는 바위 , 청청한 물줄기를 그리며 마음 닦는 정진의 시간과 함께했다 . 그래서 그림의 노동과 수행성이 다른 것이 아님을 새삼 느끼며 2 년에 걸쳐 혼신의 노력을 쏟아 부었다 . 쉬운 작업은 없지만 결실은 늘 기쁨이다 .2)”   ‘ 사계절 장생도 - 봄 ’, 왼쪽부분 디테일 (detail). 사진 = 권동철 .    ◇ 화면분할과 봄날의 기운생동 오유화 화백은 우리선조들이 불로장생 염원을 기원했던 장생도 ( 長生圖 ) 를 독자적 필체로 풀어가고 있다 . 전체구성은 해 , 달 , 구름 , 물 , 산 , 바위 , 소나무 , 대나무 , 학 , 사슴 , 거북 , 불로초 등을 발돋움하는 봄의 기운생동 ( 氣韻生動 ) 에 초점을 맞췄다 . 부분적으로는 사실적 묘사에만 머무르지 않고 시간의 풍경흐름을 활력의 붓 터치로 묘사했다 . ...

[권동철의 화가탐방]J Young painter-①‥Barbara Pollack Art Critic 2014년[Jay Young painter, J Young Artist, 서양화가 제이영,제이영 작가]

이미지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술평론가 바바라 폴락 (Barbara Pollack) 이 2014 부산 해운대 제이영 작업실을 방문하였다 . 이후 2015 년 뉴욕에 있는 폴락의 집에 제이영 작가가 초청 방문하였다 . 사진제공 = 제이영 . A stone, a leaf, an unfound door, of a stone, a leaf and a door. And all of the forgotten faces.  -Thomas Wolfe, Look Homeward, Angel-   △ Barbara Pollack/Art Critic   The long journey from home to the strange place called art can be mysterious, treacherous and risky. But, for those who become artists, it is also a movement towards a more magical state of creativity. often a distant destiny from the place where they were born. In traveling this journey, an artist sometimes finds that many of the things he played with as a child (and then rejected in youth) become key elements in his artworks. This can be true for all artists, no matter what country or culture they are from. But, for many artists in Asia, who have lived through their countries' transformation over th...

[권동철의 화가탐방]서양화가 제이영‥대한민국미술대전 서양화부분 우수상 1993년[J Young painter, Jay Young painter, J Young Artist,제이영 작가,화가 정재영,정재영 작가]

이미지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양화부분 우수상 수상작품 =Like-150 ㎜ , 180×100 ㎝ Mixed media on  panel, 1993.  자료제공 = 제이영 작가 .  “ 1993 년 돌 오브제 붙이고 거기에 인간의 삶이나 생활을 페인팅 한 작품이다 .   [ 제이영 작가의 말 , 서울 한남동 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 2024.10] ”  

[권동철의 화가탐방]서양화가 제이영‥중앙미술대전 서양화부분 최우수상 1992년[J Young painter, Jay Young painter, J Young Artist,제이영 작가,화가 정재영,정재영 작가,모제이 갤러리,Mo J Gallery,권동철]

이미지
  Like-150 ㎜ , 181×91 ㎝ , Mixed media on panel, 1992. 사진제공 = 모제이 갤러리 . “  1992 중앙미술대전 서양화부분 최우수상 수상작이다 . 검정색 블랙박스에 어떤 건축의 조감도를 스케치 했다 .   [ 제이영 작가의 말 , 서울 한남동 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 2024.10] ”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③]한국적 원형 한국적 추상 모색 1950년대 중반~60년대 초[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경남도립미술관,Yoo Tackyul,劉澤烈,유택렬 화백,유택렬 작가,권동철]

이미지
  (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 ) 화가의 손 (Painter’s Hand), 43.5×36.2 ㎝ 캔버스에 유채 , 1956, 개인소장 . 2 층 전시장 복도전경과 전시장 입구 .( 아래 맨 왼쪽벽면 ) 돌멘 (Dolmen), 171.1×124.3 ㎝ 캔버스에 유채 , 1963, 개인소장 . 사진 = 권동철 . “ 이것은 잔치가 아닙니다 . 갈증이 심한 사람이 샘을 파다가 얻은 조상들의 유물과 또 유리병 조각 같은 것을 여러분들에게 보여드리자는 것입니다 . 이 자리에 샘물이 솟은 물줄기가 있을 것인지 봐주시오 .< 전시장에 붙여진 유택렬 글 , 1950 년 후반추정 >”   (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 ) 무제 , 25×43.9 ㎝ MDF 에 유채 , 1958, 개인소장 . 가족 (Family), 18×16 ㎝ oil on canvas 1957, 개인소장 . △ ( 왼쪽부터 ) 작품 (Work), 27.5×33 ㎝ oil on canvas, 1958, 개인소장 . 지워지지 않는 흔적 , 27×37.4 ㎝ 패널에 유채 , 1958, 개인소장 . 작품 M-4(Work M-4), 28.8×39 ㎝ oil on canvas, 1958, 개인소장 .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유택렬이 진해에서 첫 개인전을 연 1957 년은 한국현대미술이 발화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 한국전쟁이 멈춘 당시 , 한국미술계는 유럽과 일본을 통해 앵포르멜 (Informel) 과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이전 화단을 주도하던 아카데미즘을 거부하고 현대적 양식으로 추상이 대두되었다 .   유택렬은 1961 년 1 월 10 일 진해에서 이경승과 결혼했다 . 7 월 15 일 아버지 유병추가 별세한다 . 그해 10 월 3 일 ‘ 흑백다방 ’ 에서 ‘ 유택렬 개인전 ’ 을 개최하였다 .   △ (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 ) 생선 , 79×64 ㎝ 캔버스에 유채 , 1960, 개인소장 . 생선 , 35×27.3 ㎝ 합판에 유채 ,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