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 년 불암사 불교대학생수련회 때 . 앞줄 맨 왼쪽이 석도륜 선생 . 두 번째 뒷줄왼쪽에서 두 번째 긴 머리 여학생이 조향숙 . 사진제공 = 조향숙 . 석도륜 선생은 1970 년 불암사 수련회 때 학생들에게 한국사찰현판과 주련 , 한국전통불교미술에 대한 설명을 해 주었다 . 그 당시 감명을 받았던 조향숙은 대학원논문 ( 韓國佛畵硏究 ) 지도교수로 만남을 이어갔다 . 조향숙은 1969 년부터 사제의 인연이 되어 사물을 보는 시각 , 예술가로서의 태도 등 많은 영향을 받았다 . 대학원 졸업 후에도 매주 화요일 , 금요일 정기적인 모임으로 불경을 비롯해서 사서삼경 강의와 서예 및 불화지도를 받았다 . 2011 년 6 월 16 일 석도륜 선생이 타계할 때까지 사제의 인연이 이어졌다 . 이 글을 석도륜 선생님이 육필원고로 써 주셨는데 조향숙 첫 개인전 도록에 수록하게 되었다 . 개인전을 위해 친히 써 주신 글이다 . 1) ” 1986 년 서급당 조향숙 ( 西級堂 趙香淑 ) 제 1 회 개인전 동방플라자미술관 전시도록표지 . 자료제공 = 조향숙 . 촬영 = 권동철 . 3.25. 2024. 미술공부와 고전 [ 글 = 석도륜 ] “ 미술 ( 美術 ) 에 관한 공부는 우선 고전 ( 古典 ) 부터 유득 ( 俞得 ) 해야 한다 . 보고 듣고 읽고 익히고 따온다 고해도 좋다 . 고전이란 말 한가운데는 일류 ( 一流 ) 라든가 최고 ( 最高 ) 라고 하는 뜻을 함축 ( 含畜 ) 해 있다 . 그야말로 “ 인류발전의 원천 , 인간의 가장 소중한 자원은 석유와 황금이 아니라 인간의 잠재적 능력의 무한한 가능성의 기왕의 개발인 고전 ” 인 것인데 이러한 인간의 무한함인 고전을 탐해서 연구해 야함을 미처 깨닫지 못한 사람들이 역사진행 ( 歷史進行 ) 을 묶고 가로막고 있어왔다 . 우리 비서양 ( 非西洋 ) 의 선인 ( 先人 ) 들은 앞을 내다보면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항상 고전을 되돌아보고 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