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전시장 IN] 화가 안석준‥한국의 풍경 한국인의 감성 [통인화랑,수묵화,펜 담채화,Ahn Seok Joon Painter,Pen Line & Watercolor,안석준 작가,안석준 화백, 安碩俊,TONG-IN GALLERY]

이미지
  전시작품 앞에서 포즈를 취한 안석준 화백 . 사진 = 권동철 . 수묵화와 펜 담채화 (Pen Line & Watercolor) 두 장르를 통하여 우리산하 미감을 펼쳐 보이는 안석준 작가 스무 번째 ‘ 江山無盡 ( 강산무진 )’ 초대전이 10 월 30 일 부터 11 월 24 일까지 올해 100 주년 ‘ 통인가게 ’ 의 통인화랑 (TONG-IN Gallery) 5 층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   풍경에 내재된 시간과 공간의 자연주의미학 총 30 여점의 서정에 매료 된 관람객들의 찬사 속 성황리 전시 중이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 수묵화정신 전통성의 脈 작가는 먹과 종이 붓으로만 수묵화를 그린다 . 전통성 바탕 위 현대인의 감성에 걸맞게 표현해 낸 수묵화 네 점 (80~50 호 ) 을 선보이고 있다 . 현장사생에서 체득된 필세 ( 筆勢 ) 의 운치가 스민 풍상 ( 風霜 ) 을 껴안은 바위의 고졸미 ( 古拙美 ) 가 자긍심 묻어나는 화가의 독창성으로 발현되고 있다 .   안석준 화백은 “ 사는 곳에서 가까이 있는 삼각산 ( 三角山 ) 을 자주 오르면서 산에서 느끼는 조형감과 현실에서 느끼는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까를 고민하며 그렸다 . 겸재 정선 , 단원 김홍도 그림을 보면 그 시대의 자연과 인물을 잘 조화시켜 서로 어우러짐을 표현하고 있다 . 나의 수묵화 속 인물은 자연과 융화 된 ‘ 나 ’ 를 나타 낸 것 ” 이라고 밝혔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 펜 담채화의 실경산수 이번 전시에선 지난 3 년 동안 명승지 정자 ( 亭子 ), 서원과 사찰의 풍경이 있는 편액 ( 扁額 ), 오래된 마을의 당산목 ( 堂山木 ) 등을 펜 담채화로 그린 실경산수화 ( 實景山水畵 ) 를 보여준다 . 참신성에 대한 갈망과 탐구의 산물인 ‘ 안석준 펜 담체화 ’ 의 진경 ( 眞境 ) 을 선사한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박동윤 작가‥고요의 생명력 그 미묘한 파동[서양화가 박동윤,朴東潤,Park Dong-yoon painter,Park Dong Yoon,세종뮤지엄갤러리,박동윤 화백]

이미지
  전시작품에서 서양화가 박동윤 . 사진 = 권동철 . 한지의 새로운 조형성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열망과 신념의 서양화가 박동윤 서른네 번째 ‘Affectionate Things( 애정이 깃든 사물들 )’ 기획초대전이 주목받고 있다 .   10 월 16 일 오픈 , 27 일까지 세종대학교 세종뮤지엄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이번전시는 보온과 습도에 강하고 질긴 한지재료특성을 디지털메커니즘에 호응하듯 단순과 반복의 컨템퍼러리 (contemporary) 한 물성으로 혁신시킨 총 41 점을 선보이며 미술애호가들의 호평 속 성황리 진행 중이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전시장에 들어서면 끝없는 지평선 같은 , 심원의 바다에 한줄기 빛이 스며들어 깊은 감도의 물방울을 터트려 경계가 없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놓은 듯 작품과 조우하게 된다 . 입체로 세워진 색 ( 色 ) 한지 ‘ 날 ’ 이 조명을 흡수하며 발산하는 원색의 강렬한 컬러에 호기심으로 이끌리게 되는 배경이 된다 .   정면에서 보면 숨겨진 질서의 직선 ‘ 날 ’ 들이 드러내는 팽팽한 차가움과 경쾌한 선 ( 線 ) 의 맛이 엄정한 질서를 다스린다 . 측면으로 시선을 돌리면 부조 (Relief) 화된 겹겹 면이 묵직한 정중함으로 융화된 넉넉하고 미묘한 파동으로 일렁이는 듯하다 .   전시전경 . 사진 = 권동철 . 박동윤 작가 ‘ 날 ’ 작업은 한국성을 드러내는 요소들 이를테면 선 , 면 , 질료 , 정신성을 시현 ( 示顯 ) 한 서정적 추상작품으로 모든 형상성을 단순간결하게 응축시킨 작품들이다 .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표현해 내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 날 ’ 의 조형은 평면물성이라는 한지의 기본적 원리를 입체화시킨 발상전환의 미학과 다름이 없다 . 평평했던 종이를 ‘ 세운 것 ’ 이지만 , 그러함으로써 한지가 3 차원의 부피를 드러내는 형체의 ‘ 사물 (Things)’ 이 되는 구조화를 통해 궁극으로 자연성을 극대...

[권동철의 화가탐방]서양화가 제이영‥중앙미술대전특선 1991년[J Young painter, Jay Young painter, J Young Artist,제이영 작가,화가 정재영,정재영 작가]

이미지
  제이영 작가 중앙미술대전 특선작품 =Like-150 ㎜ , 200×100 ㎝ Mixed media on canvas, 1991. 자료제공 = 제이영 작가 .  “1991 년 실험실 비커 (Beaker, 비이커 ) 와 돌멩이 오브제로 평면에 드로잉페인팅 한 작품으로 중앙미술대전 특선했다 .   [ 제이영 작가의 말 , 서울 한남동 작업실에서 , 대담 = 권동철 , 2024.10] ”

[권동철의 화가탐방]Jo Hyang-suk’s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space[Thoughts on the woodcut of Jo Hyang Sook,임영길 평론④,화가 조향숙,조향숙 작가,Yim Young Kil-Art Critic]

이미지
  도판 08.2 김준근의 천로역정 . 자료제공 = 임영길 . Spatial analysis in Korean traditional prints was mainly represented as inverse perspective. This was formed from the relationship of social status between the painter and the object. The painters were middle class, and the person he/she painted was usually higher than him/herself. It was natural to use inverse perspective method, because in order to represent the authority of a person with high status, one should portray the person in detail even in a distance, which took up a lot of space. There is an irony that at the same period when scenography was being comple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ith perspective method being introduced in Korea, the West was breaking out of it. The painting <Les Demoiselles d'Avignon, 1907>, in which Picasso attempted to break out of perspective, and the woodcut of Kim Joon-Geun in <The Pilgrim's Progress> published in 1895, when he was almost completing the perspective method in Korea, had si...